폭염주의보 발령 시 생명까지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 실내외 행동수칙, 열사병 증상, Q&A까지 한 번에 확인하세요.
빠르게 폭염 대비 행동요령을 알고 싶다면 아래 버튼을 눌러보세요.
🔥 폭염주의보 발령!
기상청이 폭염주의보를 발령했다면, 이는 단순히 날씨가 더운 정도를 넘어 생명과 직결되는 위험 경보입니다.
폭염은 매년 수십 명의 생명을 앗아가는 여름철 자연재난 1위이기도 하죠.
특히 노약자, 어린이, 야외근로자는 폭염에 가장 취약하기 때문에, 폭염 행동요령을 알고 즉시 실천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 폭염주의보와 폭염경보 차이
폭염주의보 | 일 최고기온 33℃ 이상 2일 이상 | 일반적인 폭염 상황 |
폭염경보 | 일 최고기온 35℃ 이상 2일 이상 | 야외활동 금지, 공사 중단 등 조치 필요 |
👉 폭염경보는 실외 활동을 피해야 하며, 공공시설에서는 자동 휴무 조치가 시행될 수 있습니다.
🧊 폭염주의보 행동요령 10가지
1. 한낮 외출 피하기 (오전 11시~오후 5시)
- 햇볕이 가장 강한 시간대는 외출 금지
- 불가피할 경우 양산, 모자, 선글라스, 자외선 차단제 필수
2. 갈증 전에도 수분 섭취
- 30분마다 물 1컵
- 커피·탄산음료·술은 탈수 유발, 피하세요
3. 냉방기기 적절 사용
- 실내온도 26
- 냉방병 방지를 위해 선풍기 병행 사용 추천
4. 실내 공기 자주 환기
- 창문 열고 자연통풍 1일 2회 이상
- 고온 밀폐 공간은 특히 주의 (창고, 화장실 등)
5. 차량 내 어린이·반려동물 방치 금지
- 5분만 지나도 차량 내 온도 50℃ 이상 상승
- 차 안은 절대 피난처가 아닙니다
6. 어르신·어린이 집중 보호
- 하루 3회 이상 건강 상태 확인
- 에어컨 없는 가정에 냉방 물품 지원 고려
7. 야외 작업자 작업시간 조정
- 폭염특보 시 작업 중단 권고
- 1시간에 최소 10분 이상 그늘 휴식
- 물·얼음조끼·쿨타월 등 제공 필수
8. 밝은 색·통풍 잘되는 옷 착용
- 체열을 흡수하지 않는 밝은 색·면 소재 옷 착용
- 타이트한 옷은 체온상승 유발
9. 식중독 예방을 위한 식품 관리
- 상온 보관 식품은 냉장 전환
- 조리 후 2시간 이내 섭취, 남은 음식은 폐기
10. 열사병 초기증상 즉시 대처
땀이 멈추고 얼굴 붉어짐 | 즉시 그늘로 이동, 물 마시기 |
어지럼증·구토 | 시원한 수건으로 몸 닦기, 누워 쉬기 |
의식 혼미·고열 | 즉시 119 신고, 병원 이송 필요 |
👉 열사병은 즉각적인 응급 대응 없이는 사망률이 매우 높습니다.
💬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폭염
❓ Q1. 마스크 쓰고 폭염에 외출해도 괜찮을까요?
A. 위험합니다. 마스크는 체온을 높이고 땀 배출을 막아 열탈진, 호흡곤란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사람이 없는 곳에서는 마스크를 벗고 호흡을 조절하세요.
❓ Q2. 선풍기만으로 충분한가요?
A. 선풍기만으로는 실내 기온을 낮추기 어렵고, 오히려 열을 순환시켜 체온 상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에어컨과 병행 사용 + 수분 보충 + 통풍이 기본입니다.
❓ Q3. 에어컨은 계속 틀어도 되나요?
A. 장시간 틀 경우 온도차가 5도 이상이면 냉방병, 두통, 면역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어, 26~28도 사이의 적정 온도 유지가 가장 좋습니다.
❓ Q4. 폭염 알림은 어디서 받아볼 수 있나요?
A. 행정안전부 ‘안전디딤돌’ 앱, 기상청 날씨누리, 네이버/카카오톡 알림, **재난문자(SMS)**를 통해 실시간으로 폭염특보를 받을 수 있습니다.
❓ Q5. 폭염특보 시 공공시설도 쉬나요?
A. 일부 지자체는 실외 활동·공사·행사 등을 중단하거나 연기합니다. 또한 무더위 쉼터, 도서관, 복지회관 은, 폭염 기간 동안 오전 9시~오후 6시까지 냉방 유지 운영합니다.
.
📌 무더위 쉼터, 어디서 확인할까?
전국 무더위쉼터 | 안전디딤돌 앱, 행안부 무더위쉼터 포털 |
시·군·구 쉼터 | 주민센터, 보건소,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